//광고 차단 회복 //오류 방지 메시지
반응형

직장 생활은 대체적으로 그렇듯이 평온하지 않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그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면서 업무가 진행된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시간적으로 긴급한, 촉박한 또는 긴급한 척 하는, 촉박한 척 하는 문제들이 대다수이다.

(그런 문제를 긴급하게 만드는 사람이 또 있다.)

특히 엔지니어로 있으면서 연구개발 업무를 하다보면,
단순한 방법으로는 도저히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없는 상황도 마주하게 된다.
물론 전문가나 고수의 도움으로 조언을 받을 수 있지만, 어려운 문제를 마주하게 되면 적잖게 당황한다.

이 경우에 문제 해결의 맥락을 잘못 짚게 되면 샛길로 빠지게 된다.
그리고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직장에서의 문제는 보통 긴급한, 촉박한 문제들이 대다수이므로,
초기 접근을 잘못해서 시간을 다수 소비하게 되면, 그야말로 큰일이다.

(일은 계속 쌓이고, 업무 미팅 날짜는 다가오고, 다그치는 사람은 또 한두명인가..)

짧은 시간 내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핵심을 파악하고 찌르는 능력이 필요하다.
   1) 통찰력 : 문제의 핵심을 꿰뚫어보는 능력. 겉으로 보이는 문제보다 속에 숨겨진 핵심을 보는 능력.
   2) 문제 해결 능력 : 어떤 부분을 건드려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그야말로 원샷원킬 능력이다.
말로 하는 것이야 쉽지만, 이와 같은 것은 정말 이상적인 상황이다.
이론과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 위와 같이 문제 접근을 할 수 있다면, 정말 유능한 사람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어린 직장인들 입장에서 이러한 요구는 참으로 힘겹게만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장인이 되어서도 본인 역량 개발에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2014.09.26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