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차단 회복 //오류 방지 메시지
반응형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일반군을 위한 신속항원검사와 고위험군을 위한 PCR 검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요.

 

2022년 4월 11일부터 일반군을 위한 신속항원검사가 중단됩니다.

앞으로는 고위험군을 위한 PCR 검사만 진행되니, 참고하셔야 겠습니다.

4월 10일까지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4월 11일부터 일반군에 해당하는 분들은 호흡기전담클리닉/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에 방문해서 진료/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증상이 있다면,

동네 호흡기전담클리닉/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에 방문해서 진료/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신속항원검사를 민간 의료체계로 넘기고,

보건소에서는 보건소 본연의 핵심업무에 집중하고,

보건인력과 보건자원을 재조정하여 보다 필요성이 큰 곳에 인력과 자원을 투입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 참고: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36288&ref=A 

 

신규확진 18만 5천여명…보건소 신속항원검사 내일(10일)까지

[앵커] 코로나 소식입니다. 신규 확진자 수가 닷새 만에 다시 20만 명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여전히 적은 ...

news.kbs.co.kr

 

 

이에 대해서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보건소 신속항원검사 중단안내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우선순위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검사를 희망하는 일반 국민에게 전국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실시하는 신속항원검사(개인용)가 4월 11일부터 중단된다고 밝힘

 

 ○ 보건소 코로나19 진단검사: 확진자 감소 추세, 진단에서 진료·치료까지 연계할 수 있는 검사 가능한 동네 병·의원 확대 등을 고려하여 민간중심 검사체계로 전환. 유전자 증폭(PCR) 검사는 현재처럼 우선순위 대상자에 한에서 가능.

 

   - 자가검사키트 구매 또는 병·의원 진료비가 부담되는 등 검사 접근성이 떨어지는 방역 취약계층 등: 지자체가 보유한 자가키트 한도 내에서 우선 배부 예정

 

 

 ○ 검사체계 전환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4월 10일까지는 현재처럼 보건소에서 자가키트검사를 받을 수 있음. 4월 11일부터는 전국 보건소 선별진료소(임시선별)에서 신속항원검사(개인용)이 중단됨

 

   - 고위험군 등 검사 우선순위 대상자: 현재처럼 보건소에서 PCR 검사

   - 그 외 증상이 있는 일반군: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검사

 

※ 호흡기전담클리닉 찾는법: https://pieceoftaco.tistory.com/217 (네이버맵 또는 카카오맵으로 찾으면 쉬워요.)

 

※ 보도자료 내용 중 2번 항목 참고: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3&brdGubun=31&dataGubun=&ncvContSeq=6555&contSeq=6555&board_id=312&gubun=ALL

 

 


 

 

이제는 코로나19 확진자수가 정점을 지나서 완만하게 줄어들고 있는 모습인데요.

질병관리청에서는 확진자수를 시나리오별로 예측하면서, 의료체계를 어떻게 운영할지 계획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앞으로도 확진자수가 더 줄어들게 되면, 공공이든 민간이든 의료체계에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적인 궁금증인데요.

현재 확진자수가 감소추세여서, 앞으로는 확진자수가 더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은 됩니다만,

확진자수가 어떤 이유로 더 줄어드는건지는 의문이 남아있습니다.

사람들은 계속 접촉을 하고 있는데, 확진자수가 줄어든다는 것이...

백신접종효과 및 완치효과 때문일까요? 아니면 집단면역으로 가고 있는걸까요?

 

현재 확진자수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변이(오미크론, 스텔스 오미크론)에 대한 확진자수일텐데요.

만약에 새로운 변이가 나타나면 확진자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

그러면 넓은 범위의 사람들이 확진되며, 코로나19가 더욱 장기화될까요?

 

이런 상황에서 제약/의료 업계에서 개발하고 있는 백신 및 치료제가 어떤 역할을 할까요?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겠습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를 꾸욱 눌러주세요.
공감은 글쓰기에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