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다문화가족 이라는 개념이 나와는 거리가 있는 개념으로만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와이프 D를 만나고 가정을 이루면서, 다문화가족 이라는 개념이 더이상 멀리 있는 개념이 아닌, 본인과 매우 가까운, 본인을 설명하는 개념이 되었습니다.
다문화가족 이라는 용어는 사실 여성가족부로부터 생성된 용어입니다.
다문화가족지원법에서 표현하는 다문화가족 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문화가족이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족을 말합니다(「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제1호).
· 결혼이민자와 「국적법」에 따른 출생, 인지,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 「국적법」에 따른 인지,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국적법」에 따른 출생, 인지,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 대한민국 국민과 사실혼 관계에서 출생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구성원에 대해서도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른 다문화가족 지원 규정이 적용됩니다(「다문화가족지원법」 제14조).
즉, 저는 출생에 의해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고, 와이프 D는 결혼이민자여서 법적으로 다문화가족이 되는 것입니다.
한국인가족 보다, 다문화가족의 경우 챙겨야할 부분들이 많습니다.
한국인으로 구성된 한국인가족은 기본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되어 있고, 직업적으로도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다문화가족 내 결혼이민자의 경우, 기본적인 언어부터 시작해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직업적인 부분 등.. 많은 부분에서 습득 & 이해 & 적응해야 할 부분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문화가족이 한국에서 생활하는 것은 한국가족이 한국에서 생활하는 것과는 시작점부터 다르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지금 당장에 저의 가정은 한국인배우자와 결혼이민자 둘이서 생활해가는 것이지만, 향후 가족구성원이 증가하게 되면, 그때는 또 새로운 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결혼이민자는 관광객처럼 잠깐 한국에 놀러왔다 다시 본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생활을 하게 될 사람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부분들이 큰 짐으로 다가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큰 책임감도 함께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단기간에 적응하고 사회에 녹아들 수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는 시간이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다른 문화권에서 한국으로 이민 온 경우, 여러가지 측면에서 갭이 있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고 적응하는데까지 시간이 꽤 필요할 것입니다.
저는 이 부분을 고려하고, 와이프 D가 무사히 한국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고, 서로 의미있고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62.png)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를 꾸욱 눌러주세요.
공감은 글쓰기에 큰 힘이 됩니다.
'[생각] > 생각 : 생각의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가족] 아이를 갖는다는 것에 대한 소고 (0) | 2022.09.12 |
---|---|
[다문화가족] 외국인배우자가 한국에서 생활할 때 어려운 점 (결혼초기) (0) | 2022.02.02 |
상황에 임하는 태도 (0) | 2020.06.02 |
꿈을 이루기 위한 재료 (0) | 2020.06.02 |
꿈을 이루기 위해서?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