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차단 회복 //오류 방지 메시지
반응형

 

앞서 허니게인 서비스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 ↓ ↓ ↓ ↓ ↓ ↓ ↓ ↓ ↓ ↓ 

[방치형 앱테크] 허니게인 소개글

 

[방치형 앱테크] 허니게인으로 소소한 수익을 얻자! (Honeygain, Passive Income)

물가가 오르면서 경제가 팍팍하다 보니, 직장생활 외 부수입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찾아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방치형 앱테크 중 허니게인 (honeygain) 이라는 서

pieceoftaco.tistory.com

 

 

본인이 소지한 디바이스가 여러 대인 경우, 허니게인에서 멀티 디바이스 연결이 가능한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우선 IP가 중복되는 경우에 중복 디바이스에서 Network overuse 메시지를 받고, 허니게인 활성화가 안되는데요.

이번 글을 통해서 이 상황이 어떤 조건에서 발생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피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게 되실겁니다.

 

차근차근 한 단계씩 살펴보겠습니다.

 

 


 

허니게인에서 이야기하는 IP 주소의 개념

 

IP는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의미하며, 온라인 활동과 요청에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요청한 정보를 받는데 필요한 반환주소입니다. IP 주소 없이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인터넷 검색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같은 네트워크(간단하게 이야기하면, 공유기)에서 연결하면, 사실 같은 IP 주소를 공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네트워크(공유기) 상에서 본인 소유의 하나의 디바이스만 연결했지만, 허니게인 앱에서 Network Overuse (네트워크 초과사용)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 다른 사람이 동일 네트워크(공유기) 내에서 먼저 연결된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이미 해당 네트워크(공유기)를 이용하여 허니게인이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디바이스 연결이 안되는 것입니다.

 

 

허니게인 한 계정 당 활성화 가능한 최대 디바이스 대수

 

하나의 허니게인 계정에서 디바이스가 10개 이상 등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활성화 가능한 최대 디바이스 대수는 10개입니다.

 

만약에 본인이 100개 이상의 독립적인 IP 주소 사용이 가능하고, 모두 허니게인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면, 개인이 아니라 도매상(업자)으로써 Swarmbytes 플랫폼에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허니게인에서 직접 언급한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주로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별도로 Swarmbytes를 알아보시면 좋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는 허니게인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간단한 원칙입니다.

  • 사용자는 네트워크 당 디바이스 하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는 하나의 IP 주소로 계산됩니다.
  •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한 개의 디바이스 이외에는 Network Overuse (네트워크 초과사용) 메시지가 뜨면서 활성화가 안됩니다.

 

 

Network overuse (네트워크 초과사용) 이란?

 

만약에 위 원칙을 어기게 되면, 오류 메시지를 받게 됩니다.

 

Network overused

 

이는 동일 네트워크 안에서 활성화된 디바이스가 1대를 초과하여 감지된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네트워크(=하나의 IP 주소)에서 허니게인이 지원하는 장치수가 최대 1대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부분은,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장치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이 역시도 Network overuse 조건이 된다는 것입니다.

 

 


 

동일 네트워크(공유기) 내에서 디바이스 1대만 활성화 가능하다는 사실이, 일반인 네트워크 제공자에게는 아쉬운 부분입니다.

하지만,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인 허니게인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이와 같은 정책을 펴는 이유를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 동일 네트워크에서 여러 디바이스를 허용하게 된다면? → 잠재적 IP 충돌 발생 가능성이 있다. 네트워크 중단 시 리스크가 높다. 네트워크 안정성이 낮아진다. → 고객의 원활한 네트워크 사용이 어렵다. → 고객이 떠날 가능성이 높다.

 

  • 동일 네트워크에서 여러 디바이스를 허용하게 된다면? → 누군가가 네트워크를 남용할 수 있다. → 트래픽 분배가 고르지 않을 수 있다. → 수입의 분배가 고르지 않을 수 있다. → 소수의 고용량 네트워크 제공자가 수입을 독점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안정성에 기여하는) 다수의 소용량 네트워크 제공자가 떠날 가능성이 높다.

 

궁극적으로 네트워크에서 활성화 가능한 디바이스 숫자를 제한함으로써,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고객,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제공자 모두가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공할 수 있으며, 허니게인에 대한 신뢰를 쌓음으로써 허니게인 서비스가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입니다.

 

저는 비록 허니게인의 관계자는 아니지만, IP 중복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면서 얼떨결에 서비스의 미래(?)까지 내다보게 된 것 같습니다.

 

 


 

다들 잘 이해가 되셨을까요?

 

여기까지 해서 간단하게 결론을 내보겠습니다.

  • 데스크톱 PC인 경우에는 네트워크(공유기)에서 유선랜을 통해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변경하는데 무리가 있을 것입니다. 이 경우는 네트워크를 따로 변경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 모바일 디바이스 경우에는 데이터 연결 방법에 선택권이 있습니다. ① 공유기(=와이파이) 연결 또는 ② 모바일 데이터 연결. 동일 장소에서 사용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모두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다면, 각각의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동일하게 인식해서 Network Overused 메시지를 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연결 상태에서 허니게인을 활성화한다면, IP 중복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그럼, IP 중복을 피해서 보다 많은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결해서 허니게인에서 보다 많은 수익을 창출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번 글이 도움이 되셨고, 허니게인을 시작해보실 분이 계신다면, 아래 추천 링크를 통해서 가입 부탁드리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를 꾸욱 눌러주세요.
공감은 글쓰기에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